<도덕경> 1장
도(道)를 도라고 하면 늘 그런 도가 아니고,
적합한 이름(名)이라도 늘 그런 이름이 아니다


글. 김정탁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도(道)를 도라고 하면 늘 그런 도가 아니고,
이름(名)을 이름이라고 하면, 즉 적합한 이름이라도 늘 그런 이름이 아니다.
무명(無名), 즉 이름이 없는 게 천지의 시작이고,
유명(有名), 즉 이름이 있는 게 만물의 어머니이다.
그래서 늘 무욕(無欲), 즉 하고자 함이 없음으로써 만물의 오묘함을 보고,
유욕(有欲), 즉 하고자 함이 있음으로써 만물의 명료함을 본다.
이 둘, 즉 무(無)와 유(有)는 같은 데서 나왔지만 이름을 달리하므로
이런 같은 걸 두고 현(玄)이라고 말한다.
현하고 또 현하니 수많은 오묘함이 깃든 문(衆妙之門)이다.


<도덕경> 1장은 ‘도가도비상도’라는 유명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이는 ‘도를 도라고 하면 늘 그런 도가 아니다.’라는 내용이다. 그런데 왠지 생뚱맞게 느껴진다. 그럼에도 노자가 이 내용을 <도덕경> 시작하는 글로 삼은 건 어째서일까? 더구나 1장은 천도(天道), 즉 우주·자연의 원리를 밝히고자 하는 장인데 이와 별로 관련이 없어 보이지 않는가.

혹시 우리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일종의 충격요법으로 사용한 걸까? 그런 면도 있다고 보아진다. ‘도가도비상도’는 귀납(歸納)의 논리를 전개하기 위한 전제일수도 있지만 연역(演繹)의 논리에 따른 결론으로도 여겨지기 때문이다. 만약 연역의 논리에 따른 결론이라면 ‘도가도비상도’는 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게 마땅하다. 그런데도 가장 앞에다 놓은 건 우리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라는 이유로밖에 설명이 되지 않는다. 하여간 ‘도가도비상도’로 시작하는 게 왠지 생뚱맞으므로 여기선 연역의 논리에 따라 그 내용을 파악해 보자.

천도의 원리, 즉 우주·자연의 원리가 어떠하기에 연역의 논리를 통해서 ‘도를 도라고 하면 늘 그런 도가 아니다.’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까? 노자는 이 연역 논리의 출발점을 ‘무(無)’와 ‘유(有)’의 관계에 따라서 우주·자연의 원리를 파악하는 것으로 삼는다. 이런 접근법은 음(陰)과 양(陽)의 관계에 따라서 우주·자연의 원리를 파악하는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접근법과 흡사하다. 그러므로 ‘무’와 ‘유’의 관계는 이 글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전제에 해당한다. 

노자는 “무명(無名), 즉 이름이 없는 게 천지의 시작이고, 유명(有名), 즉 이름이 있는 게 만물의 어머니이다.”라고 말한다. 무슨 말인가? 이 내용을 ‘천지의 시작이 무명이고, 만물의 어머니가 유명이다.’라고 앞뒤의 문장을 바꾸면 그 이해가 쉬워진다. 그러면 천지가 시작할 때는 어떤 생명체도 존재하지 않아서 이름이 생겨날 리 만무한 ‘무명’의 상태로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온갖 생명체가 등장하면 생명체마다 이름이 정해져서 ‘유명’의 상태가 된다고 해석된다. 그래서 이름이 없는 게 천지의 시작이고, 이름이 있는 게 만물의 어머니이다. 이런 사실은 뒤이은 글인 “무욕(無欲), 즉 하고자 함이 없음으로써 만물의 오묘함(妙)을 보고, 유욕(有欲), 즉 하고자 함이 있음으로써 만물의 명료함()을 본다.”라는 글에 의해서 보완된다.

이 글도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우주관, 즉 천지(天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인은 천지, 즉 하늘과 땅이 혼돈(混沌)에서 비롯되었다고 믿는다. 그런데 혼돈은 모든 생명체가 드러나지 않은 채 오로지 가능태로만 존재하기에 혼재된 상태로 있다. 물론 서양에선 혼돈을 가리켜서 카오스(chaos)라고 말하지만 혼돈과는 의미상으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카오스의 반대 개념은 질서를 뜻하는 코스모스(cosmos)여서 카오스에선 질서와 반대되는 혼란의 의미가 그만큼 크다. 반면 혼돈은 모든 게 혼재되어서 어지러워도 모든 생명체가 가능태로 있는 생명의 보고에 해당한다. 그래서 ‘오묘하다(妙)’는 표현이 가능하다. 

이런 가능태는 ‘무욕(無欲)’, 즉 하고자 함이 없음으로써 이 상태를 비로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온갖 생명체는 가능태로 머물 뿐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야 무명(無名)의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무명의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선 오로지 ‘하고자 함이 없어야’ 한다. 이에 노자는 ‘하고자 함이 없음’을 통해서 천지의 오묘함(妙)을 본다고 주장하는데 그건 모든 생명체가 가능태로 머물고 있어서이다. 이것이 바로 천지가 시작할 때의 모습이다.
그런데 가능태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그 모습을 점차 드러내게 마련이다. 이에 혼돈의 생명체는 동물과 식물로 먼저 구분될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더 흐르게 되면 동물의 경우는 뭍에 사는 동물과 물에 사는 동물로 구분되고, 또 뭍에 사는 동물은 발이 있는 동물과 발이 없는 동물로 구분될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더 흐르게 되면 발이 있는 동물의 경우는 네발 달린 동물과 그렇지 않은 동물로 구분되고, 또 네발 달린 동물의 경우도 인간과 인간 아닌 동물로 구분될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모든 게 혼재된 가능태로부터 비로소 인간의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

이렇게 진행된 ‘생명의 분화(division of life)’ 작용으로 인해 새로운 생명체가 천지에 속속 등장하고, 또 등장할 때마다 새로운 생명체에 이름이 제각각 붙여지는 게 사실이다. 이에 노자는 ‘유욕(有欲)’, 즉 하고자 함이 있음으로써 만물의 ‘명료함()’을 본다고 말한다. 즉 지금처럼 크게 불어난 생명체에 이름이 제각각 붙여진다면 우리는 만물의 명료함을 볼 수 있다. 그러니 유명(有名), 즉 사물이 등장할 때마다 차례대로 이름이 붙여지는 게 만물의 어머니와 같은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런데 ‘요()’를 만물의 명료함으로 파악하는데 있어선 설명이 좀 필요하다. 기존의 <도덕경> 풀이 책에서도 이 부분에 있어서 해석이 제각각이다. 먼저 자전을 찾아보면 요()를 ‘가장자리’라고 풀이한다. 그렇다면 가장자리와 명료함 사이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언뜻 보아선 어떤 관련성도 없어 보이는데 아래 그림처럼 한 점을 중심으로 커져나가는 원을 그려보면 서로가 긴밀히 연결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한가운데 까만 점(●)이 모든 생명체가 가능태로 있는 혼돈의 점이기에 ‘오묘하다(妙)’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까만 점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커져서 조그만 원(○)으로 바뀌고, 또 시간이 더 흐르면서 더 큰 원으로 바뀐다. 이런 식으로 원이 커지다 보면 원의 ‘가장자리’ 선은 이에 비례해서 길게 늘어나게 마련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생명체는 가능태에서 벗어나 점점 ‘명료한()’ 모습을 지니면서 이름을 갖는다. 따라서 원의 ‘가장자리’는 생명체가 ‘명료한’ 모습을 지니는 상태이다. 그러니 온갖 생명체의 이름은 큰 원의 가장자리 선을 따라 나열되게 마련이다. (다음 호에 계속)  Ι교수·성균관대학교 소통학. smilejtk@hotmail.com

저작권자 © 월간원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